메인 컨텐츠 화면
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농수산 플랫폼 기관
언론보도
개 요
○ (사업목적) 유치원·어린이집 공공급식 시범운영(안양지역)
○ (필 요 성) 유치원·어린이집 및 취약계층 등에 대한 공공급식 확대 대두됨에 따라
학교급식 공급운영기관인 진흥원의 공공급식 영역확대로의 역할확대
○ (추진방향) 유치원·어린이집 공공급식 운영 위해 (안양)지역 학교급식지원센터에 친환경농산물 공급
공급·유통체계(안)
농산물 출하 | ⇨ ↘↗ | 농산물 입고 | ⇨ | 소분피킹 | ⇨ | 중앙물류 | ⇨ | 소분피킹/지역배송 | ⇨ | 유치원납품 |
33개 출하회(1,165농가) | 광주유통센터 | 진흥원 | 농협물류 | 시군센터 | 시군센터 | |||||
관외 11개소 G마크 122개소 | 농산물전처리 | | | | | | | | | |
13개 업체 | ||||||||||
저장업체 | ||||||||||
8개 업체 | ||||||||||
농수산진흥원 | 학교급식지원센터 |
기관별 역할
○ (도·시군) 공공급식 정책수립·시행(사업시행지침 마련 등), 예산편성 및 시ㆍ군 보조금 집행, 시ㆍ군 센터관리 등
○ (진흥원) 지역센터와 계약 및 정산, 참여업체 정산, 유통수수료 산정 및 관리, 수발주 및 클레임 관리, 공급가격 산출, 생산 및 유통단계의 안전성 확보 등
○ (시·군센터) 계약 및 발주, 검수ㆍ검품, 대금정산, 소분·피킹, 지역배송, 참여대상선정, 참여업체 관리·감독 등
추진경과
○ (6.21) 유치원·어린이집 공공급식 공급방안 협의(도⇔진흥원⇔학교급식지원센터), 기관별 역할확인 등
○ (7.10) 공급·유통체계 및 정산체계, 기관별 역할 등 논의(시범대상, 수발주시스템, 물류 및 소분 등 필요인력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