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

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농수산 플랫폼 기관

home   홍보소식   > 언론보도

언론보도

목록 화면
제목 [공고 제2025-89호]경기도농수산진흥원 2025년 하반기 농촌재생 정책교육 진행
글쓴이 매일일보 작성일 2025-10-30
첨부파일
경기도농수산진흥원 ‘2025년 하반기 농촌재생 정책교육’ 진행
  •  강재규 기자
  •  승인 2025.10.30 13:45

최창수 원장 “농촌공간계획 수립에 있어 민관 협력과 역할 배분이 중요”
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30일 진흥원 교육관에서 도 내 농촌지역을 포함한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‘2025년 하반기 농촌재생 정책교육’을 진행하고 있다. 사진=경기도농수산진흥원
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30일 진흥원 교육관에서 도 내 농촌지역을 포함한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‘2025년 하반기 농촌재생 정책교육’을 진행하고 있다. 사진=경기도농수산진흥원

매일일보 = 강재규 기자  |  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30일 진흥원 교육관에서 도 내 농촌지역을 포함한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‘2025년 하반기 농촌재생 정책교육’을 실시했다.

교육에는 농촌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 대상 시군의 행정 담당자 및 전문기업을 포함한 관계자 총 46명이 참석했다.

경기도는 농촌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 대상인 15개 시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진흥원을 농촌공간정책광역지원기관으로 지정하고 전담조직으로 경기농촌재생지원센터 문을 열고 도내 농촌공간계획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.

이번 교육은 지난 3월 개최된 ‘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’ 이후 두 번째로 마련된 자리로, 정책교육과 실무자 워크숍으로 구성되었다.

상반기 교육이 농촌공간계획 제도와 법령에 대한 이해 중심이었다면, 이번 교육은 제도 이해를 바탕으로 한 현장 적용 능력과 실무 주체 간 협력구조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.

정책교육에는 백금철 센터장(한국농어촌공사 농촌재구조화지원센터)이 참여하여 ‘변화된 농촌재구조화법 및 특화지구에 대한 이해’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.

실무자 워크숍에는 전문가의 퍼실리테이션 하에 △행정-전문기업 역할 차이 진단 △계획수립 과정 상 요구-수렴사항 논의 △계획 목차에 따른 협력방안 검토 등 ‘농촌공간계획 수립절차에 따른 민관 역할 정립’을 주제로 토의가 이루어졌다.

최창수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원장은 “이번 교육은 기본계획수립 추진 시 농촌 자료구축, 비전 및 목표수립, 특화지구 설정처럼 협업이 필요한 과정에 대해 모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행정-전문기업의 현장 대응 능력과 협력적 추진 기반을 구축하는 자리”라며 “향후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주체 간 협력 구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”고 밝혔다.

강재규 기자
강재규 기자